1. 총효용 (Total Utility)
- 소비자가 재화나 서비스를 소비함으로써 얻는 전체 만족도를 의미합니다.
- 소비량이 증가할수록 총효용도 일반적으로 증가하지만, 증가 속도는 점차 둔화됩니다.
2. 한계효용 (Marginal Utility)
- 재화나 서비스의 소비를 한 단위 더 늘릴 때 얻는 추가적인 만족도를 의미합니다.
- 대부분의 경우 소비량이 증가할수록 한계효용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(한계효용 체감의 법칙).
3.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
- 재화나 서비스의 소비량이 증가할수록 추가적인 소비로 인한 만족도(한계효용)가 점차 감소한다는 원리입니다.
- 이 법칙은 소비량이 증가할수록 추가적인 단위의 소비로부터 얻는 만족도(한계효용)가 점차 감소한다는 원리입니다.
- 예를 들어:
- 첫 번째 아이스크림을 먹을 때 만족도가 매우 높을 수 있습니다.
- 두 번째 아이스크림은 여전히 맛있지만, 첫 번째만큼 만족스럽지는 않을 수 있습니다.
- 세 번째, 네 번째로 갈수록 추가적인 만족도는 점점 더 줄어들 것입니다.
- 이 법칙은 대부분의 재화와 서비스에 적용되며, 소비자 행동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
- 이는 왜 사람들이 다양한 재화를 소비하는지, 그리고 왜 한 재화의 가격이 오르면 수요가 줄어드는지 등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4. 효용 극대화
- 소비자는 주어진 예산 제약 하에서 총효용을 최대화하려고 합니다.
- 이는 각 재화의 한계효용과 가격의 비율이 모든 재화에 대해 동일해지는 지점에서 달성됩니다.
'매경테스트 개념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BS, 통화승수, 코스의 정리, EV/EBITDA (1) | 2024.08.28 |
---|---|
영업레버리지, CAPM모형, 인플레이션 (0) | 2024.08.22 |
팩토링, 규모의 경제, 코스피, 아이다 모형, 내쉬균형, VRIO, GDP (0) | 2024.08.18 |